- 카테고리 없음 카카오의 폭력 티스토리 계정을 카카오와 일원화한다고. 카카오 계정이 없으면 티스토리를 사용하지 못하게 만들겠다고. 이 폭력적인 새리들.
- 카테고리 없음 김지은씨 '김지은입니다' 라는 책을 읽었다. 내가 알고 있던 정보는, 그냥 포털에 올라오던 기사들, 그리고 기사들에 달리는 댓글들 정도. 그러니까, 말하자면,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베스트) 댓글들의 내용이 나의 견해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나는 안희정 씨에 대해서는 원체 별 관심이 없었던 지라, 사실 나의 견해랄 것도 딱히 정해놓은 것은 아니었지만, 여하간에 김지은씨의 경우가 미투의 취지에 맞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확신이 없는 상태였던 것이다. 최근에 나오는 사건들, 판결들, 기사들, 기사들의 댓글들 등의 내용으로 비추어보건대, 나는 내가 성 인지 감수성이 그렇게 높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러니까 나의 말이나 행동들로 인하여 어떤 식으로든 (성적으로) 불편하게 느낀 여성들이 분명 있었을 것으로 생..
- 카테고리 없음 감흥 나는 행복을 만드는 중요한 포인트가 감흥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말하는 감흥이란, 자극과도 비슷한 말인 것 같다. 돈에 대해서 우선 생각해보면, 돈이 많으면 더 행복할 것 같다고 가끔 생각하고, 또한 돈이 없기 때문에 현재 덜 행복하다고도 가끔 생각한다. 그런데 정말 그런가? 내가 가진 돈의 양, 그게 많이 중요할까? 아니면 조금 더 나아가서는, 월급의 양, 그게 행복을 결정하는 중요한 팩터인가? 내 월급이 지금보다 100만원이 오르면, 그럼 매일 매일의 나의 행복은 지금보다 꽤 증가할 것인가? 나는 그것이 별 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행복의 기원'이라는 흥미로운 책을 읽은 적이 있는데, 나는 아마도 거기서의 주장을 잘 받아들인 것 같다. 내가 받아들인 바는 (그것이 그 책에서 실제로 주장하던 내용이 아..
- 카테고리 없음 자기 일을 잘 하는 것. 매력. 예전에 블로그를 할 때 여자의 매력에 대해 몇 번인가 썼던 것 같다. 나는 남자이고, 이성에 관심이 있으므로, 여자의 매력이라고 했지만, 사실 여자나 남자나 별 상관은 없는 것도 같다. 예전에 썼던 나의 주장 중 하나는, 매력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도도함'이라는 것이다. 뭔가를 쉽게 주지 않는 것. 쉽게 마음을 주지 않는 것? 글쎄 정의는 어떻게 내려야 할지 모르겠지만. 물론 아직도 도도함은 매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요즘에 부쩍 발견하게 된 매력 요소는, 자기 일을 잘 하는 능력이다. 예전에는, 사람은 있는 그대로 그 사람을 사람으로서 받아들이는 것이 좋은 것이고, 그 사람이 가진 조건에 따라 좋아하고 안 좋아하는 것은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기도 했었다..
- 카테고리 없음 스토너 내가 참 친해지고 싶었던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이 소개해 준 책 두 권을 나는 아주 좋아한다. 어쩌면, 내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 두 권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든다. 그 중 하나가 존 윌리엄스 라는 사람이 쓴 [스토너] 이다. 몇 년 전에 소개 받고 읽었을 때, 아주 재밌게 읽은 기억이 있다. 문득, 최근에 다시 읽었는데, 너무 슬프고 아렸다. 정말 많은 부분이 내 얘기 같기도 하고. 어쩌면 스토너 라는 인물을 나의 롤 모델로 삼게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담겨 있는 것들이 많아서, 포스팅 하나에 뭔가를 정당히 얘기하지는 못할 것 같고, 부분 부분 조금씩 가끔 생각날 때마다 음미하면서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리저리 생각해봐도, 결론적으로 남는 것은 슬픈 감정이 제일 큰 것 같다. 스토..
- 카테고리 없음 애들 머릿 속에 이런 저런 생각이 떠오를 때, 그걸 분출하지 않고 그냥 놔두면, 한 없이 머릿 속에서 부유하는 것 같다. 분출되지 않고 돌아다니는 생각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머리나 마음이 쉴 틈이 없어지는 것 같다. 따라서 분출을 좀 해야될 것 같다. 그렇다고 아무 말도 안 하고 사는 것도 아니지만, 아무 한테도 얘기하기 적절하지 않은 주제도 있고, 내 주변의 누구한테 얘기해도 별 공감을 얻지 못할 주제도 있고, 그렇다. 그 중 하나는, 애들 얘기다. 최근 들어서 더욱 문득문득 드는 생각은, 애들한테 잘 해주는게 제일 중요한 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내가 말하는) 애들이라 함은 글쎄 어디까지가 애들일까. 아마 뭐 적어도 초등학생들 정도까지는 확실히 애들인 것 같다. 중학교 어디 쯤인가에서, 애들에서 청..